top of page

ARTISTE STATEMENT

J’ai entamé mes recherches lorsque j’ai commencé à éprouver une certaine peur du temps qui passe. On appelle cette peur la Chronophobie. En effet, contrairement à la définition générale du temps-« Continuité infinie, qui paraît être le milieu où se déroule la succession des existences, des vies, des événements et des phénomènes, les changements et les mouvements. »-: j’ai éprouvé un certain doute sur l’aspect continu de celui-ci. Ce constat de doute fait l’objet d’une comparaison avec mes expériences personnelles qui ne m’ont pas laissé une impression de continuité. Ces expériences m’ont poussé à approfondir mes recherches sur les notions niant la linéarité du temps. 

 

Certains travaux, comme les travaux sur vidéo, dans les installations montrent le point de croisements des différents temps. Les espaces réels sont retraduits et reconstitués en vidéo et à travers des installations par une vision subjective et la temporalité qu’on conserve. Ce sont des représentations d’une osmose entre ici et là-bas, entre le présent et le passé. Cette expérience personnelle est étendue sous diverses formes telles que la vidéo, la photographie et les objets. Elle est réalisé par la superposition des images, l’hybridation : objets-paysages et la confusion entre les images et la narration. Ce croisement entre réalité et vision subjective engendre une temporalité différente qui permet de dévier le temps linéaire.

 

우리는 주로 시간에 대해 일직선 상에 놓여 흐르는 것, 쫓겨가는 것, 잡을 수 없는 것으로 생각하여 결국에 Chronophobie (시간 공포증이 있는 사람) 가 되어버려 정작 현재를 바라보는 여유를 잃고 만다. 나는 이러한 일상적인 시간의 정의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면서 우리가 일상에서 겪는 다른 시간성의 경험을 바탕으로 시간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기 시작했다.

 

작업을 통해, 베르그송이 말하는 주체(subject)가 느끼는 시간의 “지속”

(durée) 처럼,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시곗바늘의 흐름과는 다른 시간성을 보여주고 경험하게 하고자 한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여러 시간성이 교차하는 상태( 기억 혹은 데자뷔, 내면적 시간 흐름과 객관적 시간 흐름의 혼동)를 작업화한다. 현실적 시간에서 마주하게 되는 실제가 주체적 바라봄(vision) 과 상상의 의해 해체되고 재해석되어 이것을 작업 내에서 여러 도구로 재구성된다. 다시 말해, “이곳과 저곳”, “지금과 그때”의 상호침투(osmose)의 재현인 것이다. 이러한 시간적 혼동의 경험에서 미를 발견하고 이것을 여러 형태, 즉 비디오와 사진, 설치로 재현함으로 일상적인 시간의 개념인 선형적인 시간성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간성을 관객과 함께 공유한다.  

 

다른 시간성의 재현은 물체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entropy)와 우연성, 이미지의 혼합(hybrid)된 이미지 조각, 이미지와 나레이션 사이의 혼동으로 구현된다. 주체적 바라봄과 현실의 교차로 생긴 우연성과 이질적인 시간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시간에 대한 개념, 즉 선형적 시간개념에서 벗어난다. 

bottom of page